들어가기 앞서,
이 포스팅은 Windows10에서 yolo v3를 빌드하여 실행하기 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다.
인터넷상 많은 블로그에서 yolo v3를 빌드하여 실행하는 방법을 담고 있지만, 내 마음과 같지 않게 바로 실행되지 않았다...ㅠㅠ
1주일 간의 고군분투하고 나서야, 성공 하였다.
그래서 기록으로 남기고 다른분들도 참고하였으면 하는 마음에 정리하여 올린다!!
[설치 환경]
Windows 10 64 bit
Visual Studio 2015
CUDA 10.0https://developer.nvidia.com/cuda-toolkit-archive
cuDNN v7.6.5 https://developer.nvidia.com/rdp/cudnn-download
OpenCV 3.2.0
어려웠던 상황:
1) 처음에 Visual Studio 2017버전에서 되는 사람들도 있어서 했는데 내 경우는 어떤 방법을 해도 되지 않아서,
Visual Studio 2015버전을 다시 깔았다. VS(Visual Studio)15는 DVD(ios파일)로 선택하여 다운 받았다.
이 부분에서도 처음에는 인터넷상으로 다운 받는걸 선택했다가 몇 번이나 설치가 되지 않아서 (이유는 정확히 모름..) DVD 파일로 다운 받았다.
2) CUDA 의 경우도 원래 9.0버전으로 했다가.. darknet이 빌드가 되지 않는 경험을 하고나서 10.0으로 다시 다운 받아서 빌드에 성공하였다.
CUDA도 이전 버전이 있다면 삭제하고, 다른버전으로 설치하는 편이 정신건강에 좋다...
3) 사람마다 컴퓨터와 설치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면 구글에 검색해보거나 다른 사람들의 설치환경과 비교해서 설치해보기를 권장한다.
[설치 환경을 모두 구축한 다음]
1. cuDNN을 다운 받은 다음, cuda에 있는 파일을 C:\Program Files\NVIDIA GPU Computing Toolkit\CUDA\v10.0 이 곳으로 복사해준다.
2. 환경변수를 세팅해준다.
제어판->시스템->고급시스템속성->환경변수->path 편집 -> 아래 경로 추가
1) 사진 참고하여 아래 경로와 같이 환경변수 편집
3. Github에서 Darknet을 다운 받는다.
https://github.com/AlexeyAB/darknet/
[Darknet까지 다운 받았다면, 거의 끝난거나 다름 없다!!!]
1. C:\Users\PC이름\Desktop\darknet-master\build\darknet 에서darknet.snl을 실행해준다.
2. 성공적으로 Loading이 되었다면, Visual Studio에서 Release, x64로 선택한다.
3.Debug -> darknet Properties를 선택하여 들어간다.
4. VC++ Directions -> Include Directories에서 CUDA와 opencv의 iclude 경로를 추가해준다.
5.VC++ Directions -> Library Directories에서 CUDA와 opencv의 library 경로를 추가해준다.
6.Linker -> Input -> Additional Dependancies에서opencv_world320.lib를 추가해준다.
7. 빌드가 성공하고 나면, darknet-master -> build -> darknet -> x64에 darknet.exe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다!! 이 글을 본 모든 분들이 성공했기를 진심으로 빈다.
'학문과 실천하는 삶 > 공부, 해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LOv3-Darknet] Windows10에서 YOLO v3 실행 해보기 총 정리 (2) (0) | 2020.01.14 |
---|---|
이미지 크롤링/ 이미지 크롤러/ Selenium (0) | 2020.01.14 |